우리나라 한글날은

세종29년(1446년) 음력 9월29일 훈민정임 반포한 날을 양력으로 환산한 10월9일을 한글날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북한은 

한글이 만들어진 세종15년(1443년) 음력 12월30일을 양력으로 환산한 1월 15일을 한글날로 사용하고 있다.

 

 

----

훈민정음으로 풀리는 중국어ㅣ사라진 한글로 중국어가 풀린다

https://youtu.be/RLFlrd948A0?si=oH9Mb9BxbxvSslkR

조회수 968,011회 2023. 6. 27

'아무도 몰랐던 훈민정음의 놀라운 비밀'

사라진 한글로 중국어가 풀린다

훈민정음만 제대로 알아도 중국어의 50%는 다 안다?

외국어 공부는 훈민정음 DNA을 가진 한국인에게 가장 유리하다?

 

 

아주 과학적인 표음문자 훈민정흠 창제하여서, 

당시 한자에 대해 다른 발음들이 사용되던 것을 표준 발음을 맞추기 위해서

표준 발음 서적인 '동국정훈'을 만들어서 한글로 정확한 표준 발음을 표시하여 표준 발음 정의한 것이다.

이것은 세계 최초의 책이고, 세계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동국정운은 세계 최고의 언어학 책이다.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천재 언어학자급 세종대왕이, 백성들을 위하는 마음으로, 홀로, 위대한 한글(훈민정음)을 창제(1443년)하고, 

이후, 

집현전 학자의 도움을 받아 훈민정음해례본(사용설명서)를 만들고 반포(1446년)하였다.

 

----

[한글날특집] 한글 창제 누가했나? 역사적 진실은? (feat.세종대왕과 문자권력의 민주화)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혼자 창제(1443년)한 이후,

훈민정음 해례본을 집현전의 학자들과 만들어 반포(1446년)했다.>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아래아, 반치음, 꼭지이응(옛이응), 여린히읗

--> 훈민정음에는 있었지만, 지금은 사라진 4글자 ==> 사라진 4개의 글자(ㆍ)

 

 

----

[우프 국어 상식] 5. 사라진 글자 - 아래아의 발음

조회수 21,605회2018. 4. 3

----

[우프 국어 상식] 6. 사라진 글자 - 반치음의 발음

조회수 17,937회2018. 4. 3

----

[우프 국어 상식] 7. 사라진 글자 - 꼭지 이응(옛이응)의 발음

조회수 10,158회2018. 7. 10

 

 

----

[우프 국어 상식] 8. 사라진 글자 여린 히읗의 발음

조회수 21,342회2018. 7. 9

북경어(북방부), 광동어(남방부, 홍콩어)가 다르다.

광동어는 입성(받침) 발음이 있고, 북경어는 입성이 없다.

시진핑이, 남북의 차이를 없애려소, 입성어(받임)을 없애려고한다.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원래 한글은 28글자로 창제되었다.

 

그런데, 일제시대때, 1912년 및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잘 사용하지 않는 4개 글자를 정리하였다.

주시경 선생의 제자들이 주도했던 '조선어학회'는

그 당시 판단에는 별로 한국어 표현에 별로 사용성이 없다고 생각해서 삭제했지만, 

이 4글자를 삭제함으로 해서,  9가지의 소리표현 방법이 사라지게 되었고, 

그때문에 표현할 수 없는 소리가 생기게 되었다.

즉,

'P'과 'F' 발음을 구분해서 표현할 수 없게 되었고, 

'B'와 'V' 발음을 구분해서 표현할 수 없게 되었고,

'L'과 'R' 발음을 구분해서 표현할 수 없게 되었다.

 

훈민정음에 있는 원래의 모든 표기법을 활용하면, 이런 발음들을 다 구분해서 표기할 수 있다.

 

중국어를 훈민정음의 표현방법을 바탕으로, 한국사람들에게 중국어를 쉽게 가르치는 활동을 하는 이현준 대표의 강의는 상당히 인상적이다. 다만, 원래 창제되었던 28자중 4개의 글자를 정리한 것에 대해서, 일제가 없앴다는 취지의 얘기는 착오가 있는 것같다. 당시 '조선어학회'에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주도했던 것은 주시경선생의 제자들이고, 한국어를 효율적이고 통일된 체계로 만들기 위한 활동을 했었고, 일제의 탄압에 의해 많은 회원들이 투옥까지 되었었다.

오히려, 한국어의 문법적 체계의 기반을 잡고, 맞춤법 통일안을 만듦을 통해서, 민족의 독립의 기반 잡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정리된 4글자에 대한 아쉬움은 있지만, 빠르게 쉽고 체계적인 맞춤법을 완성하기 위한 어쩔 수 없었던 선택이었다고 생각된다.

 

어쨌건,

중국어 공부에 훈민정음을 활용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은 흥미롭고, 음양오행(목화토금수), 아설순치후의 불(화, 설음, 'ㄴ')과 물(수, 후음, 'ㅇ')이 제일 중요하다는 언급과 실제로 중국에서는 받침이 'ㄴ'과 'ㅇ'만 남았다는 것은 신기하다.

 

 

(참고)
주시경 선생(1876.12.22 ~ 1914.7.27)
한글맞춤법을 통일하는 연구 진행, 1910년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기초가 되는 책을 출간.
1914년에는 국어음운학의 과학적 기초를 확립한 '말의 소리'라는 책 출간.

주시경 선생의 제자들이 주도한 '조선어학회'는 1933년10월29일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공표.

 

 

----

[출퇴근 인문학] 사라진 순경음의 발음법

조회수 16,478회2018. 8. 17

----

중국어 특강 | 이현준 대표가 말하는 훈민정음과 중국어의 비밀

조회수 307,657회 2020. 4. 1

 

마이풀 영어 중국어 토익 공식 유튜브

구독자 1.64만명

 

"훈민정음만 제대로 알아도 중국어가 보입니다."

20년 외국어 교육 사업가
이카이스 이현준 대표의 중국어 특강!

과거의 조선 사람들은 "한글로" 중국어를 배웠습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요?
훈민정음의 사라진 글자에 숨겨진 중국어의 비밀!
영상에서 그 비밀을 확인해보세요.

한글로 배우는 특별한 중국어 학습법은
마이풀에서 만나실 수 있습니다.

 

 

----

이 네글자가 사라짐으로 해서, 추가로 사라진 소리가 있다.

 

4개의 글자가 사라지고, 이로 인해서 9개의 소리가 사라졌다. ( 일제 시대때, 없애버린 것 )

이로 인해서 , 표현할 수 없는 소리들이 생기게 된것... (원래 훈민정음 28자로는 표현할 수 있었던 것)

 

 

 

410개 음을 표현하는 중국어도 P,F  L,R을 구분해서 표시할 수 있는데,

11,172개의 음을 표현할 수 있는 한글이, 이것을 구분할 수 없는 상태다.

※ '조선어학회' 부분은 좀 더 정확한 이해가 필요할 것같다.

    '조선어학회'는 일제시대 때 활동했던 것은 맞지만, 일본이 주도한 단체가 아니다. (주시경 선생 제자들/조선어학회)

   특정글자의 삭제는 한글의 표준성과 사용효율성 차원에서 이루어진 면으로 볼 수 있다.

중국어를 가르치기위한 수단으로서 훈민정음을 활용하는 차원에서는 없어진 글짜가 많이 아쉽지만, 사라진 글자는 중국어 표현에 유용하지만, 한국어 표현에는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생각된 것 아닐까 싶다.

물론, P와 F, B와 V, L과 R 발음을 구분 표기하는 방법의 상실은 아쉬운 부분이긴 하다.

 

 

 

 

 

 

 

 

 

----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

🇰🇷[한글날 특집] 세계 문자 역사와 한글이 특별한 이유?

2020. 10. 9.

조승연의 탐구생활

 

구독자 93.6만명

 

 

오늘은 한글날을 기념하여

🔠[세계 문자 역사]와 🇰🇷[한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영어와 한글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21세기의 한글이 진짜 위대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배우는 즐거움이 있는

본격 취미 탐구 라이프 채널!

조승연의 탐구생활 🕵🏻‍♂️

 

 

----

KBS 역사스페셜 - 소리문자 훈민정음 어떻게 만들어졌나

2019. 7. 28

 

 

----

"보이지 않는 소리가 글자가 되었다" 훈민정음에 숨은 놀라운 창제 원리 │#어쩌다어른

2020. 2. 21

 

 

 

----

[비정상회담][ENG][169-5] 한글의 특징과 우수성☞ 세계에서 한글만 유일하게! (Abnormal Summit)

2020. 3. 26

 

 

----

"언어를 민주화 시킨 천재"라 세종대왕을 극찬한 호주 대학의 학자와 "한글은 가장 뛰어난 문자, 우리 모두 사용하자"는 세계적 문자학자

2020. 10. 8.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

"한국어는 가장 감성적인 언어야" 방탄소년단(BTS) 해외팬들이 한국어 때문에 분노한 이유 // "가사를 번역 못하는게 말이 돼?" [해외반응]

2020. 12. 26

 

 

----

외국인들이 말하는 한국어에서만 가능한 말들?! [외국인반응 | 코리안브로스]

2020. 1. 20

 

 

----

한국인만 읽을 수 있는 글을 보고 충격받은 외국인들

2020. 5. 9

 

 

----

한국어로만 가능한 신박한 표현에 충격 받은 외국인들 반응?! (ft. 한국인들 창의성 실화..?)

2020. 10. 7

 

----

PART2 한국어로만 가능한 신박한 표현에 충격 받은 외국인들 반응?! (ft. 키보드ㄱㅋㄲㄱㅋㅋ)

2020. 10. 12

 

 

----

한국어가 영어보다 감정 표현에 더 특출(?!)난 이유

2019. 12. 4

 

 

----

외국인이 느낀 한국어 첫 느낌

2020. 1. 17

 

 

----

[비정상회담][169-1] 외국인이 보는 한글의 이미지는? (Abnormal Summit)

2020. 3. 26

 

 

 

----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

[최강1교시] EP.01 일제시대에 훈민정음을 지켜낸 간송 전형필 I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우리 문자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2019. 11. 18

캐내네 스피치

구독자 16.6만명

대한민국 최고의 강연 ‘최강1교시’

그당시에는 서울 기와집 한채 가격이 1000원. 15만원이면 기와집 150채(=현재 450억에 해당)
1443년 한글 창제 이후, 약 3년간 훈민정음 해례본 제작, 1446년에 훈민정음 반포하며 훈민정음 해례본도 같이 발간됨.

 

 

----

[최강1교시] EP.02 훈민정음 해례본의 탄생배경 I 세상에서 단 하나뿐인 우리 문자 한글 I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정재환

2019. 11. 19.

 

 

 

 

 

 

----

해방 후, 1달 만에 한글로 된 교과서를 가질 수 있었던 이유

2020. 2. 25

 

 

1913년에 '한글모'로 학회이름 변경
주시경 선생은, 1914년에 갑자기 급사하시게 됨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

우리말 지킴이 주시경 선생을 기억하며

2020. 1. 16

잊지마세요

구독자 96명

 

현대 한글 문법 체계의 기초를 만들고,

우리글의 필요성을 계몽한 주시경 선생을 소개합니다.

비록 생은 짧았으나 우리글과 말에 대한 그의 애정과 노력은

일제의 민족말살정책에서도 한글이 살아남아 지금처럼 꽃피운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

[시사본부] '한글날이 대목인 유일한 연예인’ (초대석- 정재환 /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2020.10.09

 

 

----

[지식IN] 조선어학회, 한글을 지키다

2020. 3. 9

 

국방TV

구독자 45.6만명

구독

일제강점기 이뤄진 독립운동은 여러 방면에서 펼쳐진다.

특히 조선어 말살 정책에도 민족의 뿌리이자 혼인

한글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조선어학회의 목숨 건 투쟁은

오늘날 우리의 말과 글이 있게 한 큰 힘이었다.

이번 시간에는 한글문화연대 정재환 대표에게

조선어학회가 지키고자 했던 한글의 가치와 역사에 대해 듣는다.

 

 

 

 

 

 

 

 

 

 

 

----

"보이지 않는 소리가 글자가 되었다" 훈민정음에 숨은 놀라운 창제 원리│#어쩌다어른│#tvN인사이트

2020. 2. 21

tvN 인사이트

구독자 51.2만명

#tvn인사이트 #어쩌다어른 #한글 #세종대왕

▶RE:VIEW 다시보는 tvN 인사이트◀

0:00 → 세계가 극찬한 훈민정음 창제 원리

2:04 → 글자만 봐도 발음이 보인다?

3:26 → 훈민정음이 비밀리에 창제된 이유

6:23 → 훈민정음에 얽힌 오해와 진실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

한글날: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 홀로 가르치고 있는 한글 교사 - BBC News 코리아

2020. 10. 9

BBC News 코리아

 

구독자 5.49만명

"찌아찌아족 아이들이 한글을 배우니까, 이게 원동력이 돼 아이들이 더 많은 세계로 자기 꿈을 키워가는 걸 봤습니다. 그게 제가 이 일을 놓을 수 없는 원동력이 됐습니다."

인도네시아 부톤섬에서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는 정덕영(58) 씨. 그는 현지 최초이자 유일한 한국인 한글 교사다.

현재 초등학교 세 곳, 고등학교 두 곳 그리고 고아원 한 곳에서 450여 명의 아이들을 가르치고 있다.

찌아찌아족의 한글 보급 상황은 어떨까? 정 씨가 아무도 남지 않은 이 곳에 홀로 남아 10여년동안 한글을 가르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난 9월 초 잠시 한국을 찾은 찌아찌아족의 한글 교사, 정덕영 씨를 인터뷰했다.

자세한 내용은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기획 및 인터뷰 : 김효정, 김형은

영상 촬영: 최정민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BBC News 코리아: bbc.com/korean

 

 

 

 

----

[주말&문화] “한글이 재밌어요”…찌아찌아족의 한글 배움 10년 / KBS뉴스(News)

 

2019. 6. 22

 

KBS News

구독자 99.5만명

 

한글을 자신들의 문자로 받아들인 인도네시아의 소수민족, 찌아찌아족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현지에서 학생들을 가르친  한국인 교사 정덕영씨와 민간 단체의 노력으로 10년동안 이어져온 찌아찌아족의 한글 배움을 유동엽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제법 능숙한 발음으로 부르는 우리 동요.
 학교에서 한글을 배우는 인도네시아 찌아찌아족 학생들입니다.
 칠판에는 찌아찌아 말이 한글로 적혀 있고, 책상에는  한글 이름표도 붙어 있습니다.
 선생님은 2010년부터 유일한 한국인 교사로 활동하는 정덕영 씨.
 인구 6만 명의 도시에서 10년 동안 천 명이 넘는 학생들이 정 씨에게 한글을 배웠습니다.
[정덕영/찌아찌아족 한글 교사 : "큰 도시로 나가 직장생활을 할 수 있는데도 지금은 이곳에서 저와 같이 한글 교사의 길을 걷고 있는 제자들을 볼 때 큰 보람을 느낍니다."]
 정덕영 씨가 한글을 가르치며 찍어온 사진들.
 시장 입구 간판에는 찌아찌아말을 옮긴 한글 문구와 시장이란 말이 나란히 적혀 있고, 버스 정류장 간판도 한글, 심지어 동네 이름도  '한국마을'입니다.
 한때 국내의 관심이 줄고 지원도 끊기며 어려움을 겪었지만, 한 민간단체가 개인 후원금을 모아 한글 교육을 돕고 있습니다.
[김한란/한국 찌아찌아 문화교류협회 회장 : "(정덕영 선생님) 혼자서 다 감당 못 하셔서 4년 전부터 현지 교사들이 한글을 가르칠 수 있는, 현지 교사 양성 과정을 만들었습니다."]
 낯선 나라의 글자를 받아들인 지 올해로 10년.
 찌아찌아족에게 한글은 이제, 편하게 쓰고 읽을 수 있는 일상의 문자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유동엽입니다.

 

 

----

찌아찌아족 한글교사 정덕영 "한류 덕에 한글 쉽게 가르쳐요"

송고시간2020-01-13 10:57

 

"'과학적인 한글 우수성' 확인 보람…현지인 한글교사 양성해야"
(서울=연합뉴스) 류일형 기자 = "한류 덕택에 현지인들에게 한글을 쉽게 가르치고 있어요"

인도네시아 부톤섬에서 소수부족어 찌아찌아어를 한글교재로 가르치고 있는 정덕영(58)씨는 13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2010년 3월 처음 찌아찌아족 마을에 왔을 때 이미 TV 드라마'대장금'과 K-팝을 알고 있는 현지인들이 많아 한글공부를 시키는 데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인구 7만명인 찌아찌아족은 공용어로 인도네시아를 쓰며 고유 언어를 갖고 있지만, 이를 정확히 표기할 문자가 없었다.


그러다 2008년 부족 표기법으로 한글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부족어로 대화를 나누지만 이를 적는 문자로 한글을 쓰는 것이다. 다양한 말소리를 표기할 수 있고 익히기 쉽다는 점에서 한글이 적합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연합뉴스와 인터뷰중인 정덕영(58)씨  / (서울=연합뉴스) 류일형 기자 



정씨는 2010년 3월 찌아찌아족을 가르칠 훈민정음학회 교사로 처음으로 부톤섬에 파견됐다.

그런데 정씨는 2010년 12월 재정·행정적인 문제로 귀국해야 했고, 2012월 1월 부톤섬에 세종학당이 설치돼 다시 갔지만 역시 재정적 문제 등으로 7개월 만에 철수했다.

결국 2014년 3월 정씨의 지인과 동창을 주축으로 '한국찌아찌아문화교류협회'를 창립해 같은 해 4월 다시 부톤섬으로 돌아와 현재까지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는 찌아찌아족에 오기 전에는 평범한 제약회사 회사원으로 20년간 근무하다 퇴직 후 외국인 근로자와 다문화가정에 한글과 한국어를 가르쳤다.

정씨는 2006년 7월 KBS '우리말겨루기'에 출전해 우승할 정도로 실력을 갖췄고, 고려대에서 한국어 교육 석사학위를 받기도 했다.

현재 바우바우시 부기두아국립초등학교·까르야바루국립초등학교 등 초등학교 3곳, 바우바우시 제2국립고교 등 고교 2곳, 보육원 1곳에서 400여명의 학생들에게 한글을 가르치고 있다.

7년여 동안 찌아찌아족 1천여명이 한글을, 또 다른 1천여명이 한국어를 그로부터 각각 배웠다.

그는 "찌아찌아족 어린이들에게 한글공부를 시켜보니 의외로 재미있어 하고 빨리 이해해 놀랐다"며 "과학적인 한글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활짝 웃었다.

찌아찌아족 마을 초등학교에서 한글 수업 중인 정덕영씨  [정덕영씨 제공] 
2018년 4월 바우바우시 까르야바루 국립초등학교 4학년 한글시간  [정덕영 씨 제공] 



현지에서 한글교육을 하는 데에도 예산이 턱없이 부족한 정 씨가 현재 무엇보다 가장 바라는 것은 현지인 한글교사를 양성하는 것이다.

그는 "한국인 교사가 언제까지 찌아찌아족에게 한글을 직접 가르치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한글 교육의 맥이 끊기는 것을 막기 위해 현지인을 상대로 교수법을 제대로 교육시켜 교사로 양성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2017년 부기두아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과 함께. 한복 차림의 학생들도 눈에 띈다

.

 

----

문자가 없는 나라에 한글을 전파했더니 벌어진 놀라운 사건 '신이 내린 최고의 선물입니다'

2020. 10. 10.

영국 언어학자 제프리 샘슨 
00은 신이 인간에게 내린 선물

역사 다큐 멘터리 작가 존 맨 
00은 모든 언어가 꿈꾸는 최고의 알파벳

일본 언어학자 노마 히데키
00은 앎의 혁명이 낳은 문자

미국의 언어 학자 새뮤엘 로버트 램지

한글보다 뛰어난 문자는 세계에 없다
세계의 알파벳이다 

레리야드 교수 
비교할 수 없는 문자학적 사치

94년 7월호 과학잡지 디스커버
 세상에서 가장 합리적인 글자

전 세계 저명한 학자들이 입을 모아
칭찬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

 

 

 

----

twitter.com/prettybat/status/1310753887075270657

----

세종대왕 이야기를 영어 소설로 쓴 미국 유명 [스타트렉] 작가 ‘내 마음을 훔친 세종대왕’

2020. 9. 29

SCOOP TV

구독

미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한국에서도 유명한

드라마 [스타트렉]의 작가가

한글과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담은 영문 장편소설을 집필해 화제입니다

 

이 소설의 제목은 ‘킹 세종 더 그레이트’로

세종대왕의 이야기를 역사 판타지로 풀어냈는데요

영문판과 한글판이 동시에 10월 9일 한글날에 출간되며,

영화와 드라마로도 제작,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작가가 세종대왕을 소재로 한 소설을 쓰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다는데요

그 사연을 소개합니다

 

이 영상은 채널의 비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출처 fitbook핏북 https://www.youtube.com/watch?v=hGC7t...

SBS

KBS

세종대왕 기념사업회

 

 

 

 

 

 

 

 

 

반응형
Posted by 자연&과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