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았어! 일베 댓글이 사라졌다" 네이버 50일의 변화
강주화 김성훈 권민지 기자 입력 2020.04.22. 07:03
댓글 이력 공개..'넛지 효과' 발휘
“‘일베’들은 이제 어디서 놀지?”
네이버의 뉴스 댓글 규제로 극단적인 표현을 서슴지 않는 일베 성향 등의 악성 댓글이 점점 줄고 있다. 국민일보가 22일 네이버 뉴스 댓글 규제 강화 50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욕설 등 규정을 미준수한 댓글 비율이 절반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들은 “댓글이 많이 정상화 됐다”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도 전형적인 ‘넛지 효과’로 평가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3월 5일 다음에 이어 연예 댓글을 잠정 중단했다. 특정 연예인을 비방하는 댓글의 폐해가 심각하다는 판단이었다. 같은 달 19일에는 뉴스 댓글 작성자의 댓글 이력을 전면 공개했다. 작성자가 신중하게 댓글을 작성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였다. 본격적인 선거 국면에 들어선 4월 2일에는 본인임을 인증한 뒤 댓글을 쓰는 본인 확인제를 적용했다.
9일에는 뉴스 댓글에서 특정인을 차단하는 기능을 도입했다. 같은 날 스포츠 댓글 이력 공개도 시작했다. 지난 50일간 일반, 연예, 스포츠 3가지 분야 뉴스 서비스에서 댓글에 대한 규제를 점차 강화한 것이다. 이같은 조치는 뉴스 포털로써 큰 비중을 차지하는 네이버가 인권 보호, 소모적 정치 논란, 공론장 정화 등에 소홀하다는 사회적 비판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됐다.
이후 댓글은 어떻게 변했을까. 댓글 이력 공개일인 4월 9일을 중심으로 이전, 직후, 최근을 보면 댓글 건수는 140만건에서 70만건 안팎으로 절반 가까이 줄고 규정 미준수 비율은 0.4%에서 0.2%대로 절반 수준으로 낮아졌다. 본인 삭제는 본인이 스스로 삭제한 댓글이다. 규정 미준수로 삭제된 건수는 다른 사람의 신고나 욕설 등으로 네이버 자체 기준을 지키지 않은 댓글이다.
전체 댓글 건수는 줄어든 것은 이용자들이 좀 더 신중하게 댓글을 쓰는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스스로 삭제한 건수가 전체 댓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에서 10% 수준으로 줄어든 것도 이런 추이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네이버 관계자는 “아직 명확하게 평가하기 어려운 면이 있으나 대체로 책임감 있는 댓글을 쓰는 데 도움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댓글 이력 공개 이후 일명 ‘네티즌 수사대’는 허위로 추정되는 자기 소개를 바탕으로 댓글을 쓴 아이디를 집중적으로 찾아냈다. 대표적인 예가 온라인 개학 관련 기사에서 자신을 중학교 3학년 남학생으로 소개했던 이가 N번방 사건 기사에서는 본인을 30대 여성이라고 소개한 경우다. 이 글은 네이버 댓글 공개 대참사라는 제목으로 네티즌들 주요 커뮤니티에 공유됐다.
특정 정당에 대해 지지한다고 했다고 또 반대로 이야기하는 한 네티즌의 글은 “정신착란을 일으킨다”고 품평 대상에 오르고 있다. 이런 분위기 속에 네이버 이용자들은 댓글이 상당히 정상화됐다고 반응한다. 한 네티즌 A씨는 “네이버 댓글이 많이 정화됐다. 일베들이 도대체 어디서 노는 건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네티즌 B씨는 기사 댓글에 대해 “정상이라 뭔가 적응이 안 된다”고도 했다.
전문가들은 네이버의 댓글 규제를 넛지 효과로 본다. 넛지 효과란 부드러운 개입으로 좋은 선택을 하도록 유도하는 방법을 뜻한다. 유병준 서울대 경영대 교수는 21일 “댓글 이력 공개로 ‘내가 댓글을 어떻게 쓰는지 남들도 보고 있다’라는 걸 스스로 인식해 상스러운 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줄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원재 카이스트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네이버 댓글 이력 공개로 ‘댓글=온라인 여론, 제2의 여론조사’이라는 인식의 한계가 드러났다”며 “장기적으로 댓글 환경 변화를 위해서는 플랫폼 변화와 함께 ‘사이버 시민 의식’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용자들이 온라인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말해야 하는지 교육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댓글 실명 공개 요구를 하고 있다. 유 교수는 “오프라인에서 직접적 충돌이 발생하는 가능성 등 부정적인 효과가 더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현행 댓글 제도에 ‘페널티’ 제도가 추가되면 댓글의 역기능을 더 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문제가 있는 특정 댓글이 신고돼 조치되면 그 댓글을 작성한 사람이 일정 기간 댓글을 달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네이버는 앞으로도 댓글과 관련 필요한 규제를 추가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네이버는 최근 본인 확인제와 관련한 설명에서 “이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며 익명성과 책임성의 가치를 균형 있게 지켜가겠다”고 했다. 즉 뉴스 공간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보장하면서도 책임감 있는 댓글 작성을 유도하는 데 필요하다면 추가 조치를 계속한다는 방침이다.
강주화 김성훈 권민지 기자 rula@kmib.co.kr
'언론과 표현의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자, 무엇이 문제인가 (그들은 누구편에 서 있는가) (0) | 2020.09.20 |
---|---|
윤석열 검찰총장 살리려 마술 부리는 언론 (0) | 2020.07.04 |
한국언론은 코로나19 보도가 악의적이다. (0) | 2020.03.12 |
“형편 없는 한국 언론” 외국인 기자의 뼈아픈 일침 (0) | 2020.03.10 |
PD수첩 '장관과 표창장' (10월1일 화 밤11시5분 방송) (0) | 2019.10.03 |